드라이버 티 높이: 비거리용(높게) vs 정확도용(낮게) 완벽 비교

 

드라이버 티 높이 하나만 바꿔도 OB가 줄어든다는 사실, 아시나요? 비거리를 위한 ‘높은 티’와 정확도 및 OB 방지를 위한 ‘낮은 티’ 활용법까지, 드라이버 티 높이 조절의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골프투데이입니다. 😊 지난번 ‘드라이버 OB 안 나는 법’에 이어, 오늘은 OB 방지를 위한 가장 즉각적이고 효과적인 방법! 바로 **’티 높이 조절’**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많은 초보 골퍼분들이 매번 일정한 티 높이로만 연습하시는데요, 사실 티 높이는 그날의 전략과 상황에 따라 매우 중요하게 조절되어야 합니다.

“공이 잘 맞고 안 맞고는 그냥 내 스윙 탓 아니야?”라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티 높이와 공 위치만 살짝 바꿔도 드라이버 샷의 탄도와 방향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비거리를 위한 셋업과 OB 방지를 위한 셋업은 분명히 다릅니다!

 

1. 티 높이, 왜 그렇게 중요할까요? 🤔

드라이버는 ‘어퍼 블로우(Upper Blow)’, 즉 클럽 헤드가 최저점을 지나 다시 올라가면서 공을 맞혀야(올려 쳐야) 비거리가 극대화됩니다.

이때 티 높이는 클럽이 공을 맞히는 ‘타점’과 ‘궤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입니다.

  • 티가 높으면 (High Tee): ‘어퍼 블로우’ 스윙이 쉬워져 공을 높이 띄울 수 있고, 비거리 향상에 유리합니다. (뒷바람 불 때도 유리)
  • 티가 낮으면 (Low Tee): 공을 ‘쓸어 치거나’ 살짝 ‘다운 블로우’로 맞히기 쉬워집니다. 탄도가 낮아지는 대신, 방향성이 좋아지고 좌우 오차를 줄여줍니다.

 

2. 상황 1: ‘비거리’를 위한 표준 티 높이 (높게) 🚀

파 5홀에서 투온을 노리거나, 뒷바람이 불어 비거리를 극대화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표준적인’ 티 높이입니다.

  • 티 높이: 어드레스를 섰을 때 **공의 절반 정도가 드라이버 헤드 위로 올라오도록** 꽂습니다.
  • 공 위치: **왼발 뒤꿈치 안쪽 선상**에 둡니다. (단, 초보자는 중앙으로 옮기는 게 정확도에 도움이 될 수 있음)
  • 셋업: ‘어퍼 블로우’를 위해 몸의 축을 오른쪽으로 살짝 기울여주는 것(척추 틸트)이 중요합니다. 체중은 오른발에 60%, 왼발에 40% 정도 둡니다.

 

3. 상황 2: ‘정확도/OB 방지’를 위한 티 높이 (낮게) 🎯

오늘의 핵심입니다! 홀 좌우가 OB나 해저드라 비거리보다 **정확도가 절실할 때**, 또는 **맞바람이 심하게 불 때** 사용하는 전략입니다.

  • 티 높이: **공이 드라이버 헤드 위로 거의 올라오지 않도록** 평소보다 아주 낮게 꽂습니다.
  • 공 위치: 평소(왼발 뒤꿈치)보다 공 1~2개 정도 **스탠스 중앙 쪽으로** 옮겨 둡니다.
  • 스윙 팁: ‘올려 친다’는 느낌보다는, 아이언처럼 ‘쓸어 친다’는 느낌으로 낮고 간결하게 스윙합니다.
💡 왜 정확해질까요?
티가 낮고 공이 중앙에 있으면 스윙 궤도가 완만해지고(쓸어치기), 공을 올려치기 위한 몸의 축 변화(기울임)가 줄어듭니다. 그 결과 **탄도가 낮아져 캐리(공중 비행 거리)는 줄어들지만, 좌우 방향 오차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4. 상황별 티 높이 & 공 위치 한눈에 비교 📊

두 가지 전략을 한눈에 비교해 보세요.

상황 목표 티 높이 공 위치
넓은 페어웨이, 뒷바람 비거리 극대화 높게 (헤드 위로 공 절반) 왼발 뒤꿈치
좁은 홀, OB/해저드, 맞바람 정확도, OB 방지 낮게 (헤드 위로 X) 스탠스 중앙

 

5. 드라이버 티 높이 조절 핵심 요약 📝

티 높이 조절은 스윙을 바꾸지 않고도 구질을 바꿀 수 있는 가장 쉬운 ‘코스 매니지먼트’ 기술입니다.

OB가 두려운 홀에 섰다면, ‘티 낮게, 공 중앙에’ 2가지 공식만 기억하세요. 비거리 20m를 포기하는 대신, 타수를 2타 아끼고 페어웨이를 지키는 현명한 골퍼가 될 수 있습니다!

💡

드라이버 티 높이 조절 공식

✨ 1. 목적 = 비거리 (뒷바람)
📊 2. 셋업 = 티 높게 (공 절반 이상) + 공 위치 왼발
🧮 3. 목적 = 정확도 (OB방지, 맞바람)
👩‍💻 4. 셋업 =

티 낮게 (헤드 위로 X) + 공 위치 중앙

자주 묻는 질문 ❓

Q: 티를 낮게 꽂으면 슬라이스가 덜 나나요?
A: 네, 도움이 됩니다. 티를 낮게 꽂으면 공을 올려치려는(어퍼 블로우) 동작이 줄어들고, 스윙 궤도가 완만해지거나 수평에 가깝게 됩니다. 이는 ‘아웃-인’ 궤도를 만들며 덤벼드는 스윙을 억제하여, 공이 오른쪽으로 휘는 슬라이스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Q: 티를 낮게 꽂고 공을 중앙에 놨는데도 찍혀 맞아요.
A: 공 위치와 티 높이를 바꿔도 여전히 찍혀 맞는다면(다운 블로우), 스윙 축 자체가 앞으로 쏠리고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공을 중앙에 두더라도, 임팩트 순간까지 머리는 공 뒤에 위치하도록(Head Behind Ball) 유지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Q: 티 높이 조절만으로 OB가 정말 줄어드나요?
A: 네, OB를 완전히 막을 수는 없지만 확률을 ‘줄일 수’ 있습니다. 티를 낮게 꽂아 탄도를 낮추면, 공이 공중에 머무는 시간이 줄어들어 바람의 영향을 덜 받고 좌우 편차가 줄어듭니다. 비거리를 조금 손해 보더라도 방향성을 확보하는 가장 쉬운 전략입니다.

Q: 공 위치는 ‘왼발 뒤꿈치’가 정석 아닌가요?
A: 네, ‘어퍼 블로우’로 비거리를 내기 위한 표준 셋업은 ‘왼발 뒤꿈치 선상’이 맞습니다. 하지만 이는 초보자에게 어려울 수 있습니다. 공이 너무 왼쪽에 있으면 스윙 축이 무너지기 쉽기 때문에, OB 방지나 정확도를 위해서는 공을 ‘스탠스 중앙’에 가깝게 옮기는 것도 훌륭한 전략입니다.

드라이버 티 높이 조절은 스윙을 바꾸지 않고도 결과를 바꿀 수 있는 가장 간단하면서도 강력한 ‘전략’입니다.

다음 라운드에서는 무조건 비거리만 노리지 마시고, 홀의 상황(OB, 바람)에 맞춰 티 높이를 조절해 보세요. OB가 줄어드는 만큼 여러분의 스코어도 확실하게 줄어들 것입니다! 😊

“티샷이 두렵나요?” 드라이버 OB 원인과 교정법 완벽 가이드

 

티 박스에만 서면 드라이버 OB가 두려우신가요? 지긋지긋한 슬라이스와 훅의 원인을 파악하고, 스코어를 지켜주는 ‘OB 안 나는’ 셋업과 스윙 교정법까지 완벽하게 알려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골프투데이입니다. 😊 기분 좋게 티 박스에 올라서서 시원하게 드라이버를 휘둘렀는데… 공이 아름다운 포물선 대신 엉뚱한 방향으로 날아가 하얀 OB 말뚝 밖으로 사라지는 경험, 다들 있으시죠?

“악! OB!” 😱 이 한마디에 그 홀의 스코어는 물론이고 그날의 멘탈까지 흔들리게 됩니다. 드라이버 OB(Out of Bounds)는 타수를 잃는 가장 크고 빠른 지름길이죠.

드라이버는 클럽 중 샤프트가 가장 길기 때문에, 내 스윙의 작은 문제점도 가장 크게 증폭시켜 보여줍니다. 하지만 걱정 마세요! OB의 원인 대부분은 ‘슬라이스’ 아니면 ‘훅’입니다. 오늘은 이 두 가지 고질병의 원인을 파악하고, OB 없이 안전하게 페어웨이를 지키는 실전 꿀팁을 대방출하겠습니다!

 

1. 드라이버 OB, 도대체 왜 나는 걸까요? (슬라이스 vs 훅) 🤔

OB는 결국 공이 내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심하게 휘어지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오른손잡이 기준)

  • 슬라이스 (Slice): 공이 오른쪽으로 심하게 휘어지는 샷. 대부분의 초보 골퍼가 겪는 고질병입니다.
  • 훅 (Hook): 공이 왼쪽으로 심하게 휘어지는 샷. 슬라이스를 고치고 구력이 좀 붙은 중/고수 골퍼들에게 오히려 많이 나타납니다.

이 두 가지 문제의 원인은 정반대인 경우가 많습니다. 내가 어떤 이유로 OB가 나는지 정확히 아는 것이 교정의 첫걸음입니다.

 

2. 1. 치명적 실수 ‘슬라이스’ 막는 법 (가장 중요!) 🎯

슬라이스는 크게 **두 가지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1) 임팩트 시 클럽 페이스가 열리거나, 2) 스윙 궤도가 밖에서 안으로 깎여 맞는 ‘아웃-인(Out-to-In)’ 스윙 때문입니다.

원인 1: 클럽 페이스가 열려 맞는 경우 (페이스 열림)

백스윙 탑에서 왼쪽 손목이 손등 쪽으로 꺾이는 ‘커핑(Cupping)’ 동작이 나오면 클럽 페이스가 열리게 됩니다. 이 열린 페이스가 임팩트까지 그대로 돌아오면 공은 오른쪽으로 출발하거나 휘어집니다.

**교정법:**

  • 백스윙 탑 체크: 백스윙 탑에서 왼 손등을 평평하게(Flat) 유지하거나, 오히려 살짝 말아 쥐는 ‘보잉(Bowing)’ 동작을 만든다고 상상합니다.
  • 다운스윙 시 손목 회전: 다운스윙 시 왼쪽 손등이 타깃을 바라보도록 손목을 회전(로테이션)시켜 클럽 페이스를 닫아주는 느낌을 가져야 합니다.
  • 스트롱 그립: 그립을 잡을 때 왼손을 조금 더 오른쪽으로 돌려잡는 ‘스트롱 그립(훅 그립)’을 잡으면 임팩트 시 페이스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원인 2: ‘아웃-인’ 스윙 궤도 (엎어치기)

초보자의 90%가 이 문제에 해당합니다. 백스윙 탑에서 팔에 힘이 들어가 공을 향해 덤벼들면서(상체가 앞으로 나가면서) 클럽이 바깥쪽(Out)에서 안쪽(In)으로 공을 깎아 치는 스윙입니다.

**교정법:**

  • 인-아웃 스윙 연습: ‘아웃-인’의 반대인 ‘인-아웃’ 궤도를 만들어야 합니다. 다운스윙 시 클럽 헤드를 등 뒤쪽으로 ‘떨어뜨린다’는 느낌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 겨드랑이 붙이기: 백스윙과 다운스윙 시 양쪽 겨드랑이(특히 오른쪽)가 몸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붙인다는 느낌으로 스윙하면, 팔이 덤벼드는 것을 막고 궤도를 ‘인-아웃’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됩니다.
  • 헤드 커버 드릴: 공의 대각선 앞쪽(바깥쪽)에 헤드 커버를 두고, 이 커버를 치지 않고 안쪽에서 공을 맞히는 연습을 하면 ‘아웃-인’ 궤도를 시각적으로 교정할 수 있습니다.

 

3. 2. 고수들의 실수 ‘훅’ 방지하는 법 🚀

반대로 ‘훅(Hook)’은 슬라이스를 고치려다 손목(오른손)을 너무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임팩트 시 몸의 회전이 막혀 팔만 빠져나가면서 클럽 페이스가 심하게 닫혀 맞을 때 발생합니다.

**교정법:**

  • 과감한 몸통 회전: 임팩트 순간 몸이 멈추면 팔만 돌아가 훅이 납니다. 손목 사용을 자제하고, 왼쪽 어깨와 골반을 타깃 방향으로 더 과감하게 열어준다(회전한다)는 느낌으로 몸통과 팔이 함께 빠져나가야 합니다.
  • 오른쪽 팔꿈치 제어: 다운스윙 시 오른쪽 팔꿈치가 몸 뒤쪽으로 처지면서(힘을 뒤에서 쓰면) 페이스가 닫히기 쉽습니다. 오른쪽 팔꿈치가 항상 몸 앞쪽을 지나간다는 느낌으로 스윙해야 합니다.
  • 긴 아크 유지: 백스윙 시 오른팔을 멀리, 길게 뻗어 스윙 아크를 크게 유지하면, 궤도가 일정해지고 엎어치는 것을 방지하여 훅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4. 실전! OB 확률을 줄이는 ‘멘탈 & 셋업’ 꿀팁 🧠

스윙 교정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실전에서의 ‘전략’입니다. OB는 스윙 미스뿐만 아니라 과도한 힘과 긴장감에서 비롯됩니다.

💡 1. 70%의 힘으로 ‘부드러운 템포’ 유지하기
OB가 나는 가장 큰 이유는 ‘더 멀리’ 치려는 욕심에 힘이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힘이 들어가면 스윙 리듬이 깨지고 엉뚱한 샷이 나옵니다. 100%가 아닌 **70%의 힘**으로 부드럽게 피니시까지 한 번에 스윙한다고 생각하세요. 일관된 리듬이 강한 힘보다 훨씬 좋은 결과를 만듭니다.
💡 2. ‘티 박스’ 위치 전략적으로 활용하기
항상 티 박스 중앙에만 티를 꽂지 마세요.

  • 오른쪽이 OB일 때 (슬라이스 위험): 티 박스 **왼쪽 끝**에 티를 꽂으세요. 이렇게 하면 시야가 넓어져 페어웨이 왼쪽을 겨냥하기 쉬워지고, OB 방향을 피하는 궤도를 만드는 데 심리적으로 도움이 됩니다.
  • 왼쪽이 OB일 때 (훅 위험): 티 박스 **오른쪽 끝**에 티를 꽂으세요. 페어웨이 오른쪽을 보고 칠 수 있어 심리적 안정감을 줍니다.
💡 3. OB가 무섭다면 ‘티 낮추고 짧게 잡기’
OB의 공포가 극심한 홀이라면, 비거리를 과감히 포기하고 정확도에 집중하세요.

  • 티 낮게 꽂기: 티를 평소보다 낮게 꽂으면 탄도가 낮아져 방향 오차를 줄일 수 있습니다. (맞바람 불 때도 유용)
  • 그립 짧게 잡기: 그립을 2~3cm 짧게 내려 잡으면 클럽 컨트롤이 훨씬 쉬워져 정확도가 높아집니다.
⚠️ 최후의 수단: 드라이버 포기하기
그날따라 드라이버가 정말 안 맞는다면, 과감히 포기하세요! OB를 내는 것보다 5번 우드나 유틸리티로 150~180m만 안전하게 페어웨이로 보내는 것이 스코어를 지키는 현명한 전략입니다.

 

5. 마무리: OB 방지를 위한 핵심 요약 📝

드라이버 OB는 스코어와 멘탈을 동시에 무너뜨리는 최악의 실수입니다. OB를 줄이는 것은 멀리 보내는 것보다 ‘안전하게’ 보내는 것에 집중하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내 구질(슬라이스/훅)의 원인을 파악하고, 욕심을 버리고 70%의 힘으로 부드럽게 스윙하며, 티 박스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것만으로도 OB의 절반은 줄일 수 있습니다!

💡

드라이버 OB 방지 4줄 요약

✨ 1. 슬라이스 (초보): ‘아웃-인’ 궤도가 원인. ‘인-아웃’으로 스윙하고 손목 로테이션 연습.
📊 2. 훅 (중급자): ‘몸 막히고’ 손목 과다 사용이 원인. 과감한 ‘몸통 회전’으로 탈출.
🧮 3. 멘탈:

100% 힘 (X) → 70% 힘 (O) (욕심 버리기)

👩‍💻 4. 셋업: OB 방향 반대편 티 박스 사용. (예: 오른쪽 OB -> 왼쪽 티 박스)

자주 묻는 질문 ❓

Q: 드라이버 티 높이와 공 위치도 OB와 관련이 있나요?
A: 네, 매우 중요합니다. OB가 무섭다고 티를 너무 낮게 꽂으면 공의 탄도가 낮아져 방향성이 좋아질 수는 있으나, 찍혀 맞을 확률이 높아집니다. 반대로 공을 너무 왼쪽에 두면(왼발 새끼발가락 쪽) 몸이 공을 쫓아가며 스윙 축이 무너져 슬라이스가 날 수 있습니다. 기본(왼발 뒤꿈치 안쪽)을 지키되, 정확도를 높이려면 티를 살짝 낮추는 것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Q: 슬라이스를 막으려고 스트롱 그립을 잡았더니 훅이 나기 시작했어요.
A: 슬라이스 다음은 훅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스트롱 그립은 페이스가 닫히는 것을 ‘도와주는’ 그립입니다. 이미 손목 로테이션이 잘 되고 있는 골퍼가 스트롱 그립까지 잡으면 페이스가 과도하게 닫혀 훅이 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그립을 다시 ‘뉴트럴 그립’으로 돌려 잡고, 손목 사용을 줄이며 몸통 회전으로 치는 연습을 하셔야 합니다.

Q: 티 박스 어디에 서야 할지 아직도 헷갈려요.
A: 간단한 원칙이 있습니다. ‘위험한 곳(OB 말뚝) 가까이에 서서, 넓은 곳을 바라보고 쳐라.’입니다. 오른쪽이 위험하면 티 박스 오른쪽(OB 말뚝 쪽)에 바짝 붙어서 서세요. 그러면 내 시야는 자연스럽게 안전한 페어웨이 왼쪽을 향하게 됩니다. 반대로 왼쪽이 위험하면 왼쪽 티 박스에 섭니다.

Q: 연습장에서는 똑바로 가는데 필드만 나가면 OB가 납니다.
A: 전형적인 ‘멘탈’과 ‘환경’의 문제입니다. 연습장은 매트가 평평하고 심리적 부담이 없지만, 필드는 ①경사면(라이)이 다르고, ②OB 말뚝이 주는 심리적 압박감 때문에 나도 모르게 힘이 들어가 스윙 템포가 빨라집니다. 필드에서는 비거리 욕심을 버리고, 연습장에서의 70% 힘과 리듬으로 부드럽게 스윙하는 것에만 집중해 보세요.

드라이버 OB는 한 번의 실수로 끝나지 않고 라운드 내내 멘탈을 흔들어 놓습니다.

멀리 보내는 ‘쇼’에 집착하기보다, 내 구질의 원인을 파악하고 안전하게 페어웨이를 지키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100타를 깨는 가장 빠른 지름길입니다. 오늘 알려드린 팁으로 다음 라운드에서는 지긋지긋한 OB의 공포에서 벗어나시길 바랍니다! 😊